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2

소믈리에의 정의와 대화하는 방법 레스토랑에서 와인을 담당하고 소개하는 사람을 소믈리에로 주로 알고 있습니다. 최초의 소믈리에는 와인을 운송하는 마차를 관리하는 사람이었습니다. 19세기에 이르러 소믈리에는 귀족 저택의 와인 저장고를 감독하며 와인을 처음 맛보고 상태를 확인하는 집사로 발전하게 됩니다. 소믈리에라는 용어가 거리감이 있기도 기본적인 내용만으로도 충분히 대화가 가능합니다. 소믈리에의 정의 오늘날의 소믈리에도 와인을 운반하는 마차나 와인의 상태를 확인하는 집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 서비스 산업이 전문화되면서 소믈리에는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직업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소믈리에는 특별한 전문직으로 선망받는 직업이기도 합니다. 과거 소믈리에는 고급 레스토랑에서만 만날 수 있었지만 와인의 대중화가 되어.. 2024. 2. 24.
와인을 맛보는 방법과 와인의 구조 와인을 조금 머금고 혀 위의 와인에 공기가 통하도록 입술사이로 숨을 들이쉬어 본다면 초보자들도 와인을 쉽게 음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시면 비강 뒤쪽에 있는 후각 수용체를 자극하기에 와인의 맛과 향을 제대로 느끼실 수 있습니다. 와인을 맛보는 방법 와인 시음회나 박람회를 방문하게 되면 마치 면을 먹듯 후루룩 소리를 내며 요란하게 드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불필요한 소리와 행동으로 볼 수 있으며 뜨거운 물이나 차를 마실 때처럼 조심스럽고 섬세하게 공기를 들이마시는 방법으로 즐기시는 것이 와인을 맛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입으로 맛을 본 뒤에는 미각과 촉각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와인의 맛과 질감을 함께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과정이 익숙해지면 맛과 질감에 따라 포도 품종과 생.. 2024. 2. 24.
와인 향의 변화와 산화 와인의 향은 크게 3차에 걸쳐 향을 맡을 수 있습니다. 와인잔을 들고 한 바퀴 흔든 다음 향을 맡으면 쉽게 알 수 있으며 사냥개처럼 킁킁거리는 것이 아니라 가볍게 숨을 내쉬고 부드럽게 들이마시면 3차에 걸친 순서대로 아로마가 느껴질 것입니다. 와인 1차 향 처음 맡게 되는 1차 향은 감귤, 사과, 허브, 체리, 미네랄 향처럼 포도와 토양에서 만들어지는 향입니다. 몇 번 와인을 마시고 시간이 지나면 향만 맡아도 포도 품종이 무엇이고 어디에서 생산된 와인인지 연상하여 찾아낼 수 있습니다. 우선 향에 집중하게 되었다면 풋사과 향인지 아니면 노란 사과의 향인지 구별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더욱 쉽게 향을 맡는 것을 원하신다면 멜론향, 감귤향을 판단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프랑스의 루아르 밸리에서 자라는 소비.. 2024. 2. 24.
와인의 빛깔과 색의 강도 와인은 잔에 따른 상태에서 그 모습만 바라봐도 알 수 있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직관적으로 우리 눈에 들어오는 색과 그 진한 정도를 보면서 우리는 와인의 맛과 상태까지 알아낼 수 있으며 심지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왔는지도 유추가 가능합니다. 보는 것이 와인의 전부라고 말하는 이도 있는 것처럼 와인은 빛깔과 강도를 아는 것을 와인을 즐기는 것에 큰 도움을 줍니다. 와인을 바라보는 태도 와인은 바라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 것이 참 많이 있습니다. 색의 빛깔과 투명도, 점성, 강도를 통해서 와인을 만든 포도와 기후, 숙성 기간, 바디감을 알 수 있으며 오크 숙성여부와 여과과정까지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와인을 마시고 연습하게 되면 와인을 바라보는 태도가 달라지고 분별하는 능력이 향상됩니다. 마치 소믈리에가 .. 2024. 2. 24.
반응형